2025. 4. 8. 09:58ㆍ주식 경제 공부
열심히 일한 사람들 등골 빼서 서민들에게 나눠준다??
나는 좀 다르게 해석한다 열심히 일한 사람들 등골 빼서 그냥 놀고먹고 싶어하는 노력안하는 인간들 표심 얻을려고 한다고 생각한다.
이게 내가 민주당을 싫어하는 이유다.
이재명 엔비디아 지분 30% 발언을 보고 아 정말 사회주의 이념인가? 공산국가 만들려고 하나 오래 생각했다.
물론 나도 윤석렬이 좋다는건 아니다. 탄핵 매우 기쁘다!!
✅ 횡재세(Windfall Tax)란?
‘횡재’는 뜻밖에 얻는 큰 이익을 의미하죠. **횡재세(Windfall Tax)**는 말 그대로 예상하지 못한 초과 이익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입니다.
쉽게 말해, 어떤 기업이나 개인이 특별한 노력 없이 아주 큰 이익을 벌게 되었을 때, 그 이익의 일부를 사회 전체를 위해 환수하는 제도라고 보시면 됩니다.
💡 횡재세가 필요한 이유는?
횡재세는 단순히 “돈을 많이 벌었으니 세금 내!”라는 식의 과세가 아닙니다. 다음과 같은 사회적 목적을 갖고 있어요.
- 조세 형평성 확보
평소보다 너무 많은 수익을 얻은 일부 기업이나 개인이 사회적 책임을 함께 지도록 유도합니다. - 재정 재원 마련
예기치 않은 대규모 이익을 일부 환수해서, 취약계층 지원이나 공공복지 확대 같은 목적에 사용합니다. - 시장 과열 방지
투기나 외부 환경으로 인한 과도한 이익 구조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역할도 합니다.
🔍 실제로 횡재세가 부과되는 경우는?
횡재세는 현실에서 어떤 상황에 적용될까요? 아래는 대표적인 예시입니다.
1. 에너지 기업의 초과 수익
전쟁이나 지정학적 이슈로 유가나 가스값이 폭등하면, 에너지 회사들이 막대한 수익을 올립니다.
→ 이런 경우, 여러 나라에서 횡재세를 도입해 서민 에너지 부담을 낮추는 데 사용하고 있어요.
2. 부동산 가격 폭등 이익
정부 정책, 신도시 개발 등으로 특정 지역의 땅값이 급등하면서 부동산 소유자가 큰 이익을 얻는 경우도 횡재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.
3. 자원 수출국의 예상 밖 수익
국제 원자재 가격이 갑자기 오르면 자원 부국들은 큰 이익을 얻게 되죠.
이때도 횡재세 논의가 등장합니다.
🌍 해외 사례
횡재세는 실제로 많은 나라에서 도입되어 왔습니다.
- 영국 (2022): 에너지 기업들이 전쟁 여파로 큰 수익을 올리자, 정부는 횡재세를 부과해 서민 에너지 보조금 재원으로 사용했습니다.
- EU (2022):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 후 에너지 가격 폭등 상황에서, 초과 수익을 환수하기 위해 유럽 각국이 횡재세를 추진했죠.
🇰🇷 한국에서는?
한국에는 아직 횡재세라는 이름의 세금은 존재하지 않지만, 비슷한 취지의 제도들이 있습니다.
- 초과이익환수제: 공공택지 개발 등으로 생긴 부동산 이익 일부를 환수
- 양도소득세 강화: 단기 투기로 인한 부동산 이익에 대해 세율을 높게 적용
- 금융소득종합과세: 일정 기준 이상의 금융이익에 대해서는 누진과세 적용
이처럼 사회 전체의 형평성을 고려해 초과 이익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은 우리 주변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요.
'주식 경제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원화 절상이란? 수입기업과 수출기업에 미치는 영향 (3) | 2025.04.29 |
---|---|
JEPQ 2025년 4월 배당금이 아직 입금되지 않았다면? 원인과 확인 방법 정리 (3) | 2025.04.08 |
공매도 재개! 공매도를 피하는 투자 전략 뭐가 있을까 (3) | 2025.03.31 |
대한민국 공매도 재개, 시장에 미칠 영향은? (0) | 2025.03.28 |
JP모건 배당금 인상과 JP모건 ETF 종류 알아보자 (2) | 2025.03.20 |